본문 바로가기

방위 산업

항공모함 전단의 구성은 어떻게 이루어 질까?

최근 미 해군의 로널드 레이건 함이 부산에 입항하면서 영화에서나 보았던 항모단의 모습을 한국에서 볼 수 있었습니다.

확장억제 과시와 북한 위성 발사 경고라는 메세지가 있었지만 TV를 보며 들었던 생각은.. 

아주 멋있다! 항모전단은 어떻게 구성이 되는거지? 였습니다.

 

이번에 방한한 제5항모강습단은 레이건 함을 필두로 이지스순양함인 앤티 텀 함(CG-54)과 로버트 스몰스 함(CG-62), 이지스 구축함 슈프 함(DDG-86)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습니다.

함장님, 보십시오! 많은 인파가 저희를 향해 손을 흔들고 있습니다! 쏴야 할 것 같습니다!

와 진짜 멋있습니다..+_+

물론 사진과 같은 모습으로 한국에 오지는 않았습니다, 이렇게 온다면 어쩌면 피란을 가야할지도 모릅니다.

 

최근에 한국은 방위 산업이 해외로 수출되면서 폴란드에 FA-50 경공격기와 함께 K-2 흑표 전차와 K-9 자주포 등을 수출하였고 그 규모가 24억 달러에 이르고 있습니다.

고객님들의 반응도 좋다고 하죠? 이로 인해 K-방산의 인식이 유럽에서 긍정적으로 변화되고 있다고 하는데 이번 미 해군 항모전단의 방한을 보니 해양 무기를 비롯해 아직 갈 길이 멀다고 느껴졌습니다.

 

그런데 이 항모전단이라는 건 어떻게 구성이 될까요?

저는 항모전단의 구성과 각 함선의 역할이 무엇인지 궁금해 지기 시작했습니다.

 

그래서 이번에 항모항모하는 설렘과 긴장감으로 인해 발가락이 안쪽으로 꽉 오므라진 채 열심히 찾아본 그 구성과 각각의 역할을 정리해 볼까 합니다.

전투 에어리어를 벗어나면 그대로 각자 모국으로 연료가 버틸 때까지 날아가라, 지금 이 순간부터 전원 해고다!

미국 항공모함 전단은 미국 해군의 핵심 전력 중 하나로, 다음과 같은 다양한 함선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항공모함 (Aircraft Carrier): 항공모함은 전단의 핵심이며, 공격기, 전투기, 헬기 등을 운용할 수 있는 이륙과 착륙이 가능한 큰 함선입니다. 

미국 해군은 현재 주로 미국급 항공모함인 Nimitz급과 Ford급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순양함 (Cruiser): 순양함은 항공모함을 보호하고 대공 및 대함 미사일 시스템을 운용합니다.

미국 해군은 타이콘데로가급 순양함 등을 사용하며, 이들은 고도의 방어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구축함 (Destroyer): 구축함은 대부분 항공모함을 보호하고 대공 미사일을 운용하는 역할을 합니다.

미국 해군은 아런 버크급 구축함과 다양한 다함대 구축함을 운용하고 있습니다.

잠수함 (Submarine): 잠수함은 적의 함대나 항모 등을 공격하거나 정찰하는 임무를 수행합니다. 
미국 해군은 오하이오급 잠수함 등 다양한 유형의 잠수함을 운용합니다.

미니전함 (Guided Missile Cruiser/Frigate): 미니전함은 순양함과 구축함 사이의 역할을 수행하며, 주로 미사일 방어와 해상 전투 지원을 담당합니다.

보급함 (Support Ships): 항공모함 전단은 항상 연료, 물자, 탄약 등을 필요로 합니다. 

이 임무는 보급함이 수행하며, 항공모함과 함께 작전 영역에서 활동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러한 각 함선들은 함께 작전을 수행하여 다양한 임무를 수행합니다. 

예를 들어, 항공모함은 공중 지배력 확보와 공격 작전을 주된 임무로 하며, 순양함과 구축함은 해상에서 포를 쏘며 전투를 하는 군함으로써 항공모함을 보호하고 지원합니다. 

잠수함은 적 함선을 격파하거나 정찰을 수행하며, 미니전함은 미사일 방어와 일반적인 해상 전투 지원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함선들은 통합된 작전 능력을 제공하여 미국 해군이 다양한 규모의 작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합니다.

온 힘을 다해 쏘오는거죠

 

그런데 정보를 찾다보니 또 궁금해지기 시작했습니다.

니미..니미츠? 타이 꼰대로 가 응? 이게 뭐지?

아하~함선은 역할과 기능에 따라서 다양한 급으로 정의되는 것이었습니다.

 

예를 들어, 항공모함의 경우 Nimitz급, Ford급으로 구축함은 아런 버크급, 킹스턴급 등으로 구분하며

이는 함선의 주된 임무와 사용 용도에 따라서 나누는 것으로 이러한 작명과 급 분류는 미국 해군의 전통과 역사, 그리고 현재의 작전 요구에 기반하여 결정됩니다. 

또한 함선의 이름은 미국의 역사와 가치를 기리며, 함선의 역할과 능력은 현대 전투환경에 부합하도록 설계됩니다.

 

대한 해군도 함선의 이름을 정해진 기준에 맞게 작명한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구축함은 역사적 인물로, 호위함은 대도시의 지명, 초계함은 중소도시의 지명, 훈련함은 충무공 관련 전적지, 고속정이나 고속상륙정은 맹금류의 이름, 잠수함은 국난 극복에 공이 있는 역사적인 해양 영웅(장보고 등)이나 항일독립운동가의 존함을 사용하여 지어지고 있습니다.

 

자료를 정리하며 들었던 생각

대한민국도 지상군 뿐만이 아니라 해군과 공군 역시 세계적인 군사력으로 성장했으면 좋겠습니다.

통일 한국, 완전한 호랑이로 거듭나기를 바라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