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갑자기 궁금해 지는 것들에 대해서

대한민국 국군의 치밀하고 짜임새 있는 편성, 군 편제에 대하여

대한민국의 국군이 창설된지 올해로 76년이 되었습니다.

1948년 8월 15일에 창설된 대한민국의 정규군은 육군, 해군, 공군, 해병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육군 36만 5천 명, 해군 6만 9천 명, 공군 6만 5천 명, 해병대 2만 9천 명으로 총 478,000 명의 병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 중 부사관의 수는 131,000여 명(21년 기준)으로 현역군 병력의 27.4%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310만 명 가량의 예비 병력까지 포함하면 788,000 명으로 세계 10위 안에 드는 엄청난 규모입니다.

창설 초기에는 비록 장비와 인력의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기도 했지만 1950년 6월 25일 한국전쟁이 발발하면서 급속도로 성장하게 되었고 이후 전투력과 규모를 향상시킨 끝에 국민의 신뢰를 얻게 되었습니다.

특히 1990년대 이후에는 첨단 무기체계의 도입과 병력 감축을 통해 효율적인 군대로 거듭나고 있습니다.

이러한 국군의 역사를 읽다 보니 문득 제가 군복무를 했었던 2군단의 편제에 대해서 궁금해 졌습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군의 편제는 어떻게 나누어지고 각 군의 전투력과 임무는 무엇인지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비가 와도 눈이 와도 무한궤도는 돈다

대한민국 국군의 구성

대한민국 국군은 육군, 해군, 공군, 해병대의 4개 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편제 방식은 다음과 같이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 작전군 편제: 작전 지역과 임무에 따라 육군본부, 해군본부, 공군본부, 합동참모본부 등 4개의 작전군으로 편제되어 있습니다.
  • 군종 편제: 종교에 따라 육군본부 예하에 육군교회, 해군본부 예하에 해군교회, 공군본부 예하에 공군교회, 해병대사령부 예하에 해병대교회 등 4개의 군종으로 편제되어 있습니다.
  • 직능 편제: 직무에 따라 육군본부 예하에 병과사령부, 해군본부 예하에 함대사령부, 공군본부 예하에 공군작전사령부, 해병대사령부 예하에 해병대교육훈련단 등 4개의 직능으로 편제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군의 편제는 작전 수행 능력과 전략적 배치 및 작전 지역을 기준으로 나누어지며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전투와 임무 수행을 할 수 있도록 각 군은 긴밀하게 협동을 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작전 수행 능력이라 함은 북한의 위협에 대비하기 위한 효율적인 작전 수행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육군은 기동군단과 야전군단으로 나누어 편제하고 있는데, 기동군단은 기갑과 기계화 부대를 중심으로 편성되어 있으며, 야전군단은 보병과 기계화 부대를 중심으로 편성되어서 북한의 침공에 신속하게 대응합니다.

지금은 휴전 상태가 길어지면서 북한의 위협에 다소 경각심을 갖지 못하는 상황이 되었으나 여전히 대한민국은 북한의 위협에 직면하고 있는 국가입니다. 
따라서 국군은 북한의 위협에 대비하기 위한 전략적 배치 또한 고려하여 편제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육군의 주요 전력은 수도권과 38선 접경 지역에 배치되어 있는 방식입니다.

이러한 작전 지역을 고려한 전략적인 편제와 군의 배치는 효율적인 작전 수행과 통합된 전투력 발휘를 위해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자랑스럽고 늠름한 국군의 모습, 전투용 안경을 착용해서 그런지 짬이 느껴진다, 짬에서 나오는 바이브는 뭘 안해도 간지가 난다

대한민국 국군의 편제

작전군
육군은 작전 지역과 임무에 따라 지상작전사령부, 제2작전사령부, 수도방위사령부, 특수전사령부, 항공작전사령부, 미사일사령부, 군수사령부, 교육사령부, 인사사령부, 동원전력사령부 등 10개의 작전군으로 편제되어 있습니다.

  • 지상작전사령부는 육군의 주력 부대로, 수도권과 접경 지역의 방어를 담당합니다. 
    4개의 군단(제1군단, 제2군단, 제3군단, 제5군단)과 1개의 기동군단(제7기동군단)을 예하에 두고 있습니다.
  • 제2작전사령부는 육군의 예비 전력으로, 동원 사단과 향토 사단을 예하에 두고 있습니다.
  • 수도방위사령부는 서울특별시와 수도권의 방어를 담당하는 특수 작전군입니다.
  • 특수전사령부는 특수 작전을 담당하는 특수 작전군입니다.
  • 항공작전사령부는 육군 항공 부대를 지휘하는 작전군입니다.
  • 미사일사령부는 육군 미사일 부대를 지휘하는 작전군입니다.
  • 군수사령부는 육군의 군수 지원을 담당하는 작전군입니다.
  • 교육사령부는 육군의 교육과 훈련을 담당하는 작전군입니다.
  • 인사사령부는 육군의 인사 업무를 담당하는 작전군입니다.
  • 동원전력사령부은 육군의 동원 전력을 지휘하는 작전군입니다.

직능 편제
육군은 직무에 따라 육군본부 예하에 병과사령부, 교육사령부, 인사사령부, 동원전력사령부, 군수사령부, 정보통신사령부, 건설사령부, 화생방방호사령부, 공병사령부, 군사경찰사령부, 군악대 등을 두고 있습니다.

  • 병과사령부는 육군의 각 병과(보병, 기갑, 포병, 공병, 통신, 화학, 정보통신, 건설, 군사경찰, 군악)를 지휘하는 부대입니다.
  • 교육사령부는 육군의 교육과 훈련을 담당하는 부대입니다.
  • 인사사령부는 육군의 인사 업무를 담당하는 부대입니다.
  • 동원전력사령부은 육군의 동원 전력을 지휘하는 부대입니다.
  • 군수사령부는 육군의 군수 지원을 담당하는 부대입니다.
  • 정보통신사령부는 육군의 정보통신 지원을 담당하는 부대입니다.
  • 건설사령부는 육군의 건설 지원을 담당하는 부대입니다.
  • 화생방방호사령부는 육군의 화생방 방호를 담당하는 부대입니다.
  • 공병사령부는 육군의 공병 지원을 담당하는 부대입니다.
  • 군사경찰사령부는 육군의 군기와 치안을 담당하는 부대입니다.
  • 군악대는 육군의 군악과 예식을 담당하는 부대입니다.

이렇게 나누어진 군은 마지막으로 앞서 말씀드렸던 것처럼 작전 지역에 따라 배치되어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육군은 작전 지역을 고려하여 수도권과 접경 지역, 남부 지역으로 나누어 배치되어 있는데, 수도권과 접경 지역은 북한의 위협에 대비하기 위해 지상작전사령부와 특수전사령부가 주둔하고 있습니다.
남부 지역은 향토 사단과 동원 사단이 주둔하고 있습니다.

이렇듯 대한민국 육군의 편제는 국가와 국민의 안보를 위해 효율적으로 작전 수행하고, 통합된 전투력을 발휘하기 위해 치밀하게 짜여져 있습니다.

지상작전사령부와 제2작전사령부
지상작전사령부 예하에는 4개의 군단과 1개의 기동군단이 편제되어 있습니다.

  • 제1군단은 경기도와 강원도 지역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예하 부대로는 제1보병사단(전진부대), 제2기갑여단(충성부대), 제11화생방대대 등이 있습니다.
  • 제2군단은 충청도와 전라도 지역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예하 부대로는 제3기갑여단(번개부대), 제7보병사단(칠성부대), 제36보병사단(백호부대),  제302경비연대, 제12화생방대대 등이 있습니다.
  • 제3군단은 강원도 북부 지역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예하 부대로는 제2보병사단(노도부대), 제12보병사단(을지부대),  제21기계화보병사단(백두산부대), 제22기계화보병사단(율곡부대), 제20기갑여단(독수리부대), 제23경비여단(철벽부대), 제102기갑여단(일출부대), 제303경비연대, 제13화생방대대 등이 있습니다.
  • 제5군단경기도와 강원도 중부 지역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예하 부대로는 제1기갑여단(전격부대), 제3보병사단(백골부대), 제5보병사단(열쇠부대), 제28보병사단(무적태풍부대), 제15화생방대대 등이 있습니다.
  • 제7기동군단은 경기도와 강원도 지역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예하 부대로는 제8기동사단(우뚜기부대), 제20기계화보병사단(결전부대), 제11기동사단(화랑부대), 제26기계화보병사단(불무리부대), 제13기계화보병여단(사자부대), 제17화생방대대 등이 있습니다.

제2작전사령부 예하에는 7개의 보병사단과, 수도지원사령부가 있으며 통신단 및 공병단과 같은 직할부대가 편제되어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하 부대로는 제31기계화보병사단(충장부대), 제32기계화보병사단(백룡부대), 제35보병사단(충경부대) 등이 있습니다.

수도군단
수도권 서부 및 남부 방위 군단으로 충의부대라고도 불립니다. (수도방위사령부와는 다릅니다)

작계 지역 역시 경상도, 전라도, 충청도 지역 등 한강 이남 지역 방위를 주 임무로 하고 있습니다.

예하부대로는 제17보병사단(번개부대), 제51보병사단(전승부대), 수도포병여단이 있으며 정보통신단과 공병단, 군사경찰단 및 특공연대와 같은 직할부대가 편제되어 있습니다.

 

다음에는 해군과 공군 및 해병대의 편제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긴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대한민국 공군의 편제 방식" 링크